본문 바로가기

spring7

Transection Transection 이란 따로 수행에 성공해선 안되는 하나의 단위 이다 . 만약 A가 가진돈이 10000원이고 5000원을 B에게 보냈다면 UPDATE A (10000-5000),UPDATE B(0+5000) 이 이루어 져야 한다 . 두개의 업데이트 문이 이루어 져야하는데 만약 업데이트가 한가지만 이루어져 UPDATE A (10000-5000)만 이루어 졌다면 5000원이 순식간에 사라지고 A와 B의 갈등이 생길것이다 . 이러한 일들을 막고자 Transection으로 UPDATE A와 B 가 전부 성공, 전부 실패로 만들어 줘야 한다. 트랜잭션은 ACID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. A(atomicity) 원자성 : 하나의 트랜잭션이 더 이상 작게 쪼갤 수 없는 최소한의 업무 단위이다.(All Or Noth.. 2023. 3. 14.
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= 스프링 컨테이너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 BeanFactory = 스프링 컨테이너의 최상위 인터페이스 즉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의 하위 인터페이스 ==> ApplicationContext = BeanFactory + 부가기능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하기 위해서 구현체를 생성 해야 하는데 xml 형식으로 설정 context:component-scan => 하위 폴더 까지 빈을 관리 직접 빈을 등록하거나 @어노테이션을 통해 빈을 등록 해줄수 있다 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. 2023. 3. 14.
Presentation-Layer DataBase persistence-Layer(repository(Dao)) business-Layer(Service+ServiceImplement) presentation-Layer(controller.view) 1. Dto( Data transfer object ) 란 DB 와 매칭될 클래스, Entity 클래스라고도 한다 . 로직없이 getter ,setter 만을 가진다 . 2. Dao( Data Access object) 란 DB를 사용해 데이터를 조작하는 객체 Service와 DB를 연결함(CRUD) 3. Service 란 트랜잭션 처리 및 presentation 계층과 DataAccess 계층을 연결하는 역할 4.Controller 란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 및 응답을 처리 , UI와 연결 .. 2023. 3. 14.